당원존 자유게시판

우리나라 농업 경쟁력 떨어진 이유 오히려 첨단 기계화 때문

  • 2025-07-18 12:34:48
  • 3 조회
  • 댓글 0
  • 추천 0

 2천평  스마트팜 할려고 농지 구매.. 구매후 알았습니다..

 이때부터  문제가 보이더군요    시설장비로    5억~10억대 들어 가더군요..

  난방비 부터 해서 운영비 장난 아니더군요  

  계산을 해 본 후  포기했습니다 벼농사외 할 것이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 돈을  투자해서 하는것이 맞나 하고요.. 절망적 이더군요..

  스마트팜 안하면   1천평  1모작 ~2모작  -    스마트팜 하면 3~4모작..   스마트팜 수명이  10년..

   농지 활용을  2배 돌리기 위해서 투자한 것인데  오히려  비용이 더 들어감  더 불편하고 

  10억 투자하면   1.5% 이자로 보면  1년 이자 비용만   1500만원    5년거치 10년 상환..

   상환시기 되면  1년에  1억씩  갚아가야..

  ​농지 2천평으로   1억 수익나올 수가 없습니다..

 *  하우스는 벼농사처럼  집단 기계화 안되었는데 스마트팜은 오히려  근로자 더써야 .. 난방비부터  비용이

      

   축산도 비슷    50마리 키우면   투자비  최소 10억 들어갑니다.. 돼지, 닭  모두 똑같습니다..

   다 정부 자금  대출...  악순환 반복..  유리온실  그  몇배 투자..

   기계화된  벼농사  농민들은 고집할 수 밖에 없습니다 벼농사는  혼자서 1만평이상   재배 가능..

    미국이 농업  경쟁력... 바로  하우스 재배 방식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시설 투자비 없이  기계로   대량재배   인건비도 얼마 안쓰고 

   

  우리나라  농업 경쟁력 살리려면     외국 노동자 ,스마트팜에 의지하는  현시스템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시설 투자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야 합니다..

   스마트팜  모듈화 대량 생산 시스템으로   시설 투자비  가격을 획기적으로 낮쳐야  

   스마트팜  시설 공장을   공기업화 단일화 시켜야 합니다..  중구난방  시설 업자  바꿔야..

   1천평  스마트팜   1~2억 해결 할 수 있게  획기적으로 바꿔야...

   현 구조로는  농,축산     경쟁력 없습니다 



   

  

  

 

  


댓글

신고하기
신고 게시물은 삭제되며, 해당 게시물을 올린 유저는 덧글쓰기 및 글쓰기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허위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활동에 제한을 받게 되오니, 그 점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