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연구원

내용 바로가기

[이슈브리핑] 북한의 미사일 위협 분석 및 대응방안

배경

북한의 미사일 위협 분석 및 대응방안

배경

  

  지난 24일, 북한은 4월과 7월에 이은 3번째 SLBM 도발을 감행했다. 이는 올해 1월 4차 핵실험 이후 12

번째 탄도미사일 무력도발이다. 북한은 현안에 대한 타개책, 강화된 핵능력 과시를 통한 체제안정화 유

도책, 對미 협상력 확대를 통한 국제고립 탈피책으로서 미사일 도발을 이용하고 있다. 차후에도 김정은 

정권은 북한이 미-중간 경쟁의 전략게임 속에서 자국 문제를 주도하기 위한, 핵능력 유지·강화 및 실질적

핵 보유국으로 인정받기 위한 수단으로 무력시위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금번 시험발사된 

SLBM 외에도 최소 615~1,200기 이상의 탄도미사일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 고에서는 북한이 ’20

년까지 20~100기의 핵탄두를 보유할 것이라는 판단 하에 北 탄도미사일 각각의 세부능력, 개발/전력화 

수준 및 시험발사 계획을 추정·분석함으로써, 북한의 핵 위협 가능성을 판단했다. 분석 결과, 북한은 탄도

미사일 자체능력에 비해 기반역량이 취약하여 실질적으로는 보유 미사일의 일부분만 운용 가능한 것으

로 평가되나, 각 미사일의 실전배치, 기술적 진보 및 성능개량, 핵 투발수단 다양화를 과시하는 기습적, 

단발성 위협이 계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대한 정부의 대응은 두가지로 귀결될 수 있다. 첫째, 한·미

간 수립한 北 핵·미사일 선제대응체계(4D)의 작전개념을 명확히 하고, 킬체인/KAMD 및 추가 전력소요

를 합 검토해 개발/도입을 결정해야 한다. 둘째, 유엔 안보리 결의 2270호 등 대북제재를 위한 국제공

조의 실효성을 검토하고, 더욱 강력한 대북제재 및 회원국들의 실질적인 이행을 촉구하는 외교적 수단

을 발휘해야 하며, 이를 위해 사드 배치 등 이슈에 대해 주변국과의 갈등을 최소화하는 전략외교가 필요

하다. 외교와 국방, 모두 간과하지 않는 Win-Win 체제를 위한 정부의 유연한, 명확한 대응이 시급한 시

점이다.

  

 

Ⅰ. 북한의 미사일 도발 의도 


□  북한은 올해 1월 4차 핵실험 이후, 12번의 탄도미사일(BM) 무력도발을 감행했며, 특히 지난 24일 발생

    한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는 4월과 7월에 이은 3번째 SLBM[1] 도발임.

 

  앞서 북한은 한미연합훈련(UFG[2])이 시작되는 시점(8.22)에 인민군 총참모부, 외무성, 조국평화통일위

    를 총동원해 “핵으로 선제 타격하겠다”는 위협을 가하며 거세게 반발한 바 있고, 이번 SLBM 도발은 UFG

    를 겨냥해 핵 투발수단의 성숙도를 과시한 것으로 판단됨.  

  - 북한은 작년에도 UFG 기간 중 경기도 연천 비무장지대(DMZ) 남쪽 지역으로 포격도발을 하는 등 UFG, 

    키리졸브[3]와 같은 한·미간 훈련이 진행되는 시기에 각종 도발을 지속해옴.


  이날 발사된 SLBM은 함경남도 신포 인근 해상으로부터 약 500Km를 비행하여 일본 방공식별구역

    (JADIZ)을 약 80Km 침범한 지점에 낙하하였으며, 이는 북한이 지난 4월 23일 증명한 수중 사출기술(약 

    30Km 비행)에 이어 비행기술까지 상당수준 확보했다는 의미임.  

  - 기습도발용 미사일로 남한은 물론 주일 미군기지까지 공격 가능한 능력을 과시한 것임.


□  북한은 현안에 대한 타개책, 강화된 핵능력(기술/수단/반경) 과시를 통한 체제안정화 유도책, 對미

    협상력 확대를 통한 국제고립 탈피책으로서 미사일 도발을 이용하고 있음.


  이번 SLBM 도발 또한 56주년 선군절(8.25)을 하루 앞두고, 태영호 영국주재 북한공사 망명(8.17)으로 인

    한 내부동요를 막아 결속을 도모하며, 배치 논란중인 사드(THAAD)의 무용론을 확산시키는 동시에 한반

    도 긴장을 고조시킴으로써 한·미를 자극한 것으로 해석됨. 

  - 이와 관련해, 北 노동신문은 24장의 SLBM 시험발사 사진을 공개하며 김정은의 현지지도 모습을 추켜세

    웠고,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의 말을 빌어 “핵공격 능력을 완벽하게 보유한 군사대국의 전열에 들어섰

    다. 탄도탄 핵심기술 작전요구에 완전히 도달했다.”고 보도함.


  북한은 핵탄두가 장착된 탄도미사일을 미국이 자군의 전략자산을 타격할 수 있는 현실적 위협으로 인식

    하도록, 그에 따라 북·미협상을 시작하여 국제적 대북제재를 중단시킬 목적으로, 차후에도 핵능력 강화 

    및 실질적 핵 보유국으로 인정받으려는 노력을 지속할 것임.  

  - 다시 말해, 김정은 정권은 북한이 미-중간 경쟁의 전략게임 속에서 자국 문제를 주도하고 핵능력 유지·

    강화를 통해 생존할 수 있도록 북·중동맹 및 미·중경쟁을 적극 이용할 것임.

 

[1]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

[2] Ulchi-Freedom Guardian(을지프리덤가디언) : 한반도 우발상황을 가정해 매년 여름 실시하는 한·미 합동군사연습

[3] Key-Resolve : 한미연합사가 한반도 외 지역에서의 유사시 신속 전개능력을 숙달하기 위해 매년 봄 실시하는 합동훈련

 Ⅱ. 북한의 미사일 능력 및 위협가능성 분석  

 

□ 금번 시험발사된 SLBM(KN-11, 북극성-1호)은 구소련의 R-27(SS-N-6 Serb)을 개량한 무수단 미사일

    (IRBM)을 2차 개량한 미사일로, MIRV[4]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것으로 추정됨.

 

   작년 1월 수중 사출시험 이후 가장 원거리를 비행한 것으로, 80° 이상의 고각(Lofted)으로 발사해 계단

    열 분리를 거쳐 최대 400Km 이상 고도까지 치솟은 후 마하 10의 속도로 대기권에 재진입했으며, 정상

    각도 발사 시 1,000Km 이상까지 비행 가능한 것으로 분석됨.  

  -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SLBM은 무수단 미사일(액체연료)보다 발전된 형태이며, 연료를 가득 주입(이날은 

    50%만 충전) 시 최대사거리는 3,000Km급으로, 남한 전역은 물론 일본의 오키나와 미군기지부터 괌과 

    하와이의 미군 태평양 기지까지 사정권에 들어오게 됨. 

 

  그동안 우리 군은 북한의 SLBM 개발수준을 과소평가해 실전배치까지 3~4년이 소요될 것 (최소사거리 

    300Km 미달)이라 예상해왔고, 5~10년 이상 걸릴 것이라는 미 RAND 연구소 분석도 있었으나, 이번 시

    험으로 빠르면 1~2년 내 전력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음.  

  - 지난 시험발사(4.23) 시와 비교 결과, 미사일 후미 부분이 성능개량된 것을 알 수 있음.

 

□ 북한은 SLBM 외에도 최소 615~1,200기 이상의 탄도미사일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5]되며, 이는 北 각지

    의 미사일 생산·운용 기반능력(생산시설 15개, 기지 26개)에 기인함.


  탄도미사일 연구개발은 「제2자연과학원 산하 공학연구소」 주관으로 추진되며, 생산은 총참모부의 소

    요제기 → 국방위원회를 경유, 당 중앙군사위원회로 요청 → 당 중앙군 사위의 개발지시 → 제2경

    제위원회 4기계총국 통제 하에 군수공장 생산 順으로 진행됨.  

  - 각 탄도미사일은 최대사거리(220~15,000Km)에 따라 남한, 남한 및 일본 일부, 일본 전역 및 괌 미

    군기지, 미국 본토 대부분의 4개 지점으로 타격목표를 구분할 수 있음. 

 

北 탄도미사일 보유현황(추정)[6]


 

북한은 ’20년까지 20~100기의 핵탄두를 보유할 것으로 판단[7]되는데, 이에 北 탄도미사일 각각의 세

    부능력, 개발/전력화 수준 및 시험발사 계획(추정)을 분석하는 것은 북한 핵 위협 (추가도발) 가능성을 

    가늠하는 차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그 내용은 아래와 같음. 

 

  (1. SLBM) 현재 2,000톤급 신포함에 1발 장착이 가능한 수준으로, 잠수함 1척 당 최소 3~4발을 탑재하
    는 단계까지 연구개발에 집중할 것으로 판단되며, SLBM 발사는 육상발사-수중발사-탄두비행기술-유도
    기술의 4단계를 모두 충족해야 하는데, 이번 시험발사로 3단계 기술은 확보했으나 유도기술은 미확보 
    상태로 추정되어 추가시험(도발)이 예상됨.  
  - 現 신포함은 ’90년대 구소련의 골프급 잠수함을 분해 및 역설계 방식으로 개발한 것으로, SLBM은 잠수
    함이 위치한 수심 30m 내외에서 발사 → 부력/추진력으로 수면 돌파 → 수면 위 부스터 점화
    (Cold-launching[8]) 단계를 거쳐 목표물을 타격(유도)하게 됨.  
  - 김정은은 北 정권수립 70주년인 ’18년 9월 9일까지 SLBM 발사관 3개를 탑재한 신형 잠수함 개발을 지
    시한 상태(日 도쿄신문, 2016.8.26)이며, 앞서 미 북한전문가 조지프 버뮤데스는 신포 잠수함기지 위성
    사진을 공개하며 “북한이 수년 전 신형 SLBM 잠수함 설계를 시작했고, ’20년까지 개발 완료할 것”이라
    고 전망한 바 있음(38노스 간담회, 2016.8.24.). 
  - 중국 최초의 원자력 추진 시아급(6,500톤) 잠수함은 SLBM 12발을 탑재하고 있는데, 북한이 궁극적으로 
    중국 수준의 SLBM 전력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2. KN-02/스커드 계열) 실전배치된 상태로, 수년간 대량발사를 통해 중·장거리뿐 아니라 남한에 실질
    적 위협이 되는 단거리 미사일도 지속 발전중임을 알리고 있으며, 향후에도 성능개량이 단계적으로 성
    공하는 시점마다 수도권 위협수준을 과시하는 도발이 예상됨.  
  - 신형 스커드(Scud-ER/D)의 경우, 일본 남부지역 타격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3. 노동미사일) 실전배치된 상태로, ’14년 발사 시 이동식 발사대(TEL)[9]를 활용한 사실이 밝혀졌으며, 
    특히 8월 3일 발사된 2발 중 1발은 TEL에 탑재된 채 폭발하여 실패했으나, 1발은 최대사거리에 근접한 
    약 1,000Km를 비행하여 日 배타적경제수역(EEZ)에 낙하함.  
  - 일본 본토의 미군기지를 비롯해, 중국 북경, 상해 및 러시아까지 타격 가능한 사거리임.

  (4. 무수단 미사일) 시험평가 없이 8기 이상 실전배치된 상태로, 現 사거리 추정기준을 초과하여 사정거
    리가 4,000Km에 이를 것이라는 일부 전문가들의 분석도 있음.  
  - 이는 인도, 중앙아시아, 필리핀 및 태평양 기지까지 타격 가능한 수준으로, 올해 4~6월 총 4회, 6발의 집
    중적인 시험발사가 있었고, 이는 핵 투발수단의 고도화를 과시한 것임.  
  - 마지막 발사된 미사일(6.22)은 정점고도 1,413Km까지 상승해 약 400Km 이격된 지점에 추락하여 고각 
    발사한 것으로 추정되며, 엔진 성능에 기술적 진전을 이룬 것으로 분석됨.  
  - 특히, 24일 발사된 SLBM의 성능개량 부분(미사일 후미의 보조날개 8개, ‘Grid-pin’)은 동 미사일의 탑재
    기술을 적용한 것이며, 이는 무게중심을 잡아 비행 안전성을 높여줌.  
  - 단, 대기권 진입 시 발생하는 고열(6,000~7,000℃)/고압에 탄두가 폭발하지 않도록 하는 ‘재진입 기술’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므로, 배치된 미사일의 지속적인 시험발사가 예상됨.

  (5. 대포동-2/은하-3) 대포동-2는 개발중으로, ’06~’07년 시험발사 이후 별다른 움직임은 없었으며, 유효
    사거리 범위에 대한 분석은 분분한 상황인데, 최소기준(6,700Km)으로 적용하더라도 호주, 괌/하와이의 
    미군기지는 물론 미 북서쪽 알래스카까지 타격이 가능함.  
  - 은하-3(대포동-2 개량형)은 ’12년 시험발사에 성공했으나, 성능이 제대로 검증되지 않음.  
  - 최근 北 동창리 발사대[10]를 높이는 공사를 완료해 은하-3보다 무게/부피가 큰 탑재체를 장착/발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완성될 경우 미 워싱턴, 오리건, 몬태나, 아이다호 등이 위험지대이며, 캘리포니아와
    네바다까지 타격 가능할 것으로 추정[11]됨. 

  (6. KN-08) 개발중으로, ’12년 4월 5일 김일성 탄생 100주년 열병식에서 최초 공개됐고, ’14년에만 발사
    체 엔진을 4회 실험하는 등 실전배치 단계 도달을 위해 주력하고 있음.  
  - 관련해, 미군 북부 사령관인 윌리엄 고트니 해군대장은 미 상·하원 군사위에서 “북한은 소형화된 핵탄두
    를 KN-08에 탑재해 미국 본토 대부분을 타격할 수 있다. KN-08은 은닉이 매우 쉬운 이동식 미사일로, 
    사전 발사징후 포착에 한계가 있다.”고 우려한 바 있음.

□ 북한은 탄도미사일 자체능력에 비해 기반역량, 즉 C4ISR[12], 정비, 품질관리, 미사일 부대 실전훈련 수
    준이 취약하여 실질적으로는 보유 탄도미사일의 일부분만 운용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나, 상기 분석과 
    같이 향후에도 각 탄도미사일의 실전/작전배치, 기술진보 및 성능개량, 핵 투발수단의 다양화를 과시하
    는 기습적, 단발성 위협이 계속될 것으로 판단됨.  



  특히, 최근 북한이 탄도미사일의 사거리 확장뿐 아니라 발사기술 자체 및 정확도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
    어[13] 관련 시험발사 및 과시적 도발이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이번 SLBM 발사를 강력 규탄하는 유엔 안보리의 성명 채택에 대해서도 북한은 “존엄과 생존을 위협한 
    이상 군사대국으로서 모든 사변적인 조치를 보일 것”이라고 위협함(8.28).  
  - 5차 핵실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나, 사드 한반도 배치 반대를 고리로 한·미·일과 관계가 벌어진 중·
    러를 자극하지 않기 위해 핵 자체 카드는 쓰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함.

[4] Multiple Independently-targetable Reentry Vehicle : 탄도미사일 1발에 1~3개의 핵탄두 탑재, 다양한 목표지점 공격

[5] 한국과 미국의 추정이 다소 상이 : ①한국은 스커드 계열 400기, 노동 450기, 대포동 15기 수준 제작능력으로 파악하는 반

    면, ②미국은 스커드 계열 600기 이상, 노동 200기 이상, 무수단 75~150기, KN-08 2~6기로 판단 

[6] 국방부, 「2014 국방백서」, 2014., 한국국방연구원, 「2015~2016 동북아 군사력과 전략동향」, 2016.6., 영 IISS, 「Military 

    Balance 2015」, 2015., 미 DoD,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2013」, 2013., 박창권, 북한의 핵 운용전략과 한국의 대북 핵억제전략, 한국국제정치학회 논문집, 2014., 「북한군 시크

    릿 리포트」, 2013., 이승열, 북한 무수단 미사일 시험발사의 의미와 대응방안, 이슈와 논점(NARS), 2016.6., 이승현, 형혁규, 

    이승열, 북한 핵·미사일 개발 관련 지표 현황과 시사점, 지표로 보는 이슈(NARS), 2016.4. 종합 참고

[7] 박창권, 북한의 새로운 핵·미사일 능력이 갖는 안보적 도전과 한국의 포괄적 대응전략, 주간국방논단(KIDA), 2016.8. 

[8] 수직발사기(VLS)의 발사관 내에 장착된 가스발생기를 이용해 미사일을 일정 고도로 밀어내고 공중에서 점화되는 방식

[9] 스커드 계열은 40대 내외, 노동미사일은 약 30대, 무수단 미사일은 30대 내외의 TEL을 활용하는 것으로 추정

[10] 북한은 장거리 탄도미사일은 무수단리 및 동창리, ②기타 탄도미사일은 동해 사부진 및 깃대령 발사장 활용

[11] 미 The Heritage Foundation은 대포동-2(은하-3)가 미국 인구의 38%인 약 1억 2천만명을 사정권에 두고 있다고 분석 

[12] Command(지휘), Control(통제), Communications(통신), Computers(컴퓨터), Intelligence(정보, 지능), Surveillance(감시), 

      Reconnaissance(정찰) : 군 작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기존 C4I에 감시·정찰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개념

[13] IISS, 「Military Balance 2015」, 2015.의 p.226 참조

Ⅲ. 대응방안 


첫째, 한·미간 협의한 北 핵·미사일 선제대응(4D) 체계의 작전개념을 명확하게 정립하고, 기 추진중인 

    킬체인/KAMD 구축을 조속히 진행해야 하며, 추가 전력화가 필요한 타격/방어 체계가 있다면 그 효용

    성, 사업 중복여부 및 외교적 손실을 통합적으로 검토해 결정해야 함.


  한·미 당국은 ’15년 제47차 한미안보협의회(SCM, 11.2)를 통해 4D 작전계획 수립을 공식 천명하고 ‘작계

    5015’에 반영했으나, 그 개념이 모호하여 실효성에 의문이 드는 상황임.   

  - 4D는 탐지(Detect)-방어(Defense)-교란(Distrupt)-파괴(Destroy) 체계를 통해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이

    임박했다고 판단되면 한·미가 북한 공격시설을 선제 타격하겠다는 개념임.   

  - 군사학 이론의 예방전쟁 및 선제공격 개념은 국제법상 용인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 4D의 개념은 이들과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현실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다수임.    

  - 국방부는 이에 대해 선제공격이 아닌 ‘적극적 방어’의 개념으로 주장하나, 북한의 미사일 공격 임박시점

    판단이 불분명하므로, 모호성을 없애고 작전개념을 구체화해야 할 것임.


❍   4D 작전계획의 핵심은 ’23년 전력화를 목표로 추진중인 킬체인/KAMD로, 예산 미반영 등 그간 전력화

    가 지연된 원인/문제점을 정밀하게 분석함으로써, 이를 신속히 해결하고 전력화를 조기 추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정부 및 국회 차원의 통합된 노력이 시급함.    

  - KAMD의 경우, 당초 ’05년까지 M-SAM 개발을 완료하고 ’10년대 L-SAM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었으나, 

    개발이 늦어짐에 따라 다음 과 같이 전력화가 약 10년 지연되었음.    

  - 적기 전력화 또는 전력화시기를 앞당길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분석·검토가 필요함.

 


 

 ❍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점차 지능화/다양화됨에 따라 킬체인/KAMD 보완 또는 전력증강 차원에서 추가

    전력소요를 검토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됨.     

  - 특히, 급부상한 SLBM 위협에 대한 방안으로 거론되고 있는 원자력(核)잠수함 건조에 관한 부분은 현실

    성, 전력화 가능성, 국내 핵연료 재처리의 결정권을 가진 미·중의 반발 등 이로인한 군사적/외교적 손실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실질적인 국익 관점에서 결정해야 함.    

  - 기존 이지스함(세종대왕함 등)에 SM-3를 탑재하는 등 ‘수중 킬체인’ 구축에 대한 타 전력 증강 대안도

    현재 우리 군이 보유한 킬체인/KAMD 및 해상대응전력(한·미연합 조기경보 위성(DSP), 해상초계기(P-

    3C), 그린파인 레이더(EL/M-2080), 이지스함 3척, 214급 잠수함 7척 등)과의 통합 운용개념을 우선 구체

    화한 후, 추가 전력에 대한 소요제기를 결정해야 함.    

  - 안보마케팅 또는 정쟁이 아닌 방위역량 강화 관점에서 국회와 국방부/합참, 소요군, 국방 정출연(KIDA, 

    ADD, 기품원), 통일부, 외교부 등이 이러한 전력확보 쟁점에 대해 세부적으로, 상호 보완적으로 논의하

    고 해결할 수 있는 중·장기적 콘트롤타워 기구가 필요함.

 

□ 둘째, 유엔 안보리의 규탄 성명 및 제재 결의안 채택 등 대북제재를 위한 국제적 공조의 실효성을 검토

    하고, 더욱 높은 강도의 제재 및 회원국들의 실제적 이행을 촉구하며, 이를 위해 사드 등 현안·이슈에 대

    해 주변국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외교전략이 필요함.

 

  안보리 결의 2270호(3.2 채택)는 그간 지적돼 온 북한의 제재 회피수단 및 제재 비적용 대상의 외화 조달

    경로를 통제함으로써 “유엔 역사상 가장 강력하고 실효적인 대북제재”로 평가받고 있으나, 북한은 그에 

    아랑곳하지 않고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를 무시하고 있음.  

  - 이번 SLBM 발사 이후에도 이틀만에 중국 등 15개 이사국의 만장일치로 유엔 안보리의 강력 규탄성명이

    채택됐으나, 북한은 격앙된 반응을 보이며 추가도발을 예고하고 있음.


  정부는 안보리 결의가 대북제재 이행에 있어 상당부분 회원국에 재량권을 부여하고 있는 근본적인 한계

    를 극복하기 위해, 이사회 소집 시 회원국들에 더욱 강력한 대북제재 및 실질적인 이행을 촉구하는 외교

    적 수단(조문 포함/개정 요구 등)을 발휘해야 할 것임.


  사드 배치 문제 또한 한국이 갈등의 중심이 되는 프레임을 탈피하고, 미-중·러가 전략적 타협 국면으로 

    전환하도록 정부와 여·야가 초당적으로 노력하고, 외교적 조치를 수반해야 함.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의견이며민주정책연구원의 공식 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