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연구원

내용 바로가기

K-REPORT

[KOREA REPORT] 2017년 준비4호-3

배경

KOREA REPORT(2017년 준비 4호)
한미 FTA/홍준표 체제 출범/탈원전 정책 방향 

배경

 



(*이 준비호는 정식발간 이전의 내부 시험용으로서, 연구원의 공식문건이 아님을 유념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재인 정부, 탈원전 공약 실천 시작

 ○ 고리 1호기 영구정치를 시작으로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 시작

    - 6.19. 고리1호기 영구정지, 6.27.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중단 및 공론화 절차 실시로 공약에서 제시한  

      탈원전 정책 시작됨.

    - 신규 원전 계획 백지화, 월성 1호기 등 노후 원전 수명연장 금지 등 약속

   ○ 신고리 5·6호기 건설중단 발표 탈원전 정책에 대한 본격적인 논란 시작

    - ‘공론조사의 공정성, 타당성 문제, 매몰비용문제 등 건설중단에 따른 직접적인 문제부터 전력수급불안,  

      전기요금인상 등의 다양한 문제가 제기.

    - 타당한 문제제기도 있지만 우리의 자연환경이 신재생에너지에 적합하지 않다는 과도한 주장까지 나타나고 있어  

      기득권 집단의 조직적 저항이 의심되고 있음.

 

제기되는 다양한 문제들은 충분한 토론과 계획을 통해 해결 가능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공론화위) 같은 시민배심원제는 검증된 제도임

    - 시민배심원제는 좋은 의사결정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여론조사식 방식이 아니라 충분한 정보와 토론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숙의민주주의이론에 기초한 제도.

    - 유럽에서는 이미 상식화된 제도이고, 서울시 등에서도 시행한 바 있는 제도임.

   국민안전과 미래 경쟁력을 위해 탈원전 정책은 필수적인 방향.

    - 매몰비용(정부추산 26000억원)좋은 사업이라는 전제에서나 가능한 개념,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피해비용를 생각한다면 매몰비용은 오히려 낮음.

    - 전력수급불안의 문제와 전기요금 인상의 문제는 타당한 문제제기라 할 수 있으나, 2017년 말에 만들어질  

      8차 전력수급계획을 통해 적절한 대책이 마련 가능함.

    - 2016년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따라,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온실가스 37% 감축과 신재생에너지 비중 20%  

      확대라는 목표를 내세움.

 

 □ 정부는 체계적인 전력수급계획을 제시해 국민 신뢰를 얻어야

원전에 대한 불안으로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한 국민적 지지는 높음

    - 세계 유례가 없는 원전설비 집중으로, 소규모의 사고만으로도 부산·경남 지역의 부동산을 포함한 경제체제에  

      막대한 피해가 예상.

    - 원자력 안전 및 신 기후체제에 대응하기 위한 탈 원전 정책은 당위성 높고, 환경과 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 높음

   ○ 8차 전력수급계획을 통해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의 청사진을 제시해야

    - 산업통상자원부는 29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20%로 높이기 위한 신재생 2030 계획발표.

    - 8차 전력수급계획은 국민의 안전을 무엇보다 중요시하는 새 정부의 첫 에너지 정책으로, 미래 산업과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청사진을 기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