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연구원

내용 바로가기

K-REPORT

창간호-4. 분권과 균형발전 국정 목표

배경

KOREA REPORT(2017년 창간호)
국가 비전과 각 분야 국정 목표: 정치·행정/ 경제/ 사회/ 균형발전/ 외교안보

배경



 

자치분권과 균형발전 우선 추진으로 고르게 발전하는 지역달성.

중앙집권적 행정 구조와 수도권 중심의 발전 전략은 한국 민주주의의 성숙과 미래 발전을 제한하는 요소.

- 중앙에 집중된 권한과 재정은 지역의 자율적 발전을 저해하고 중앙 지향적인 문화를 고착화.

- 수도권 중심의 발전 전략은 수도권의 과밀화로 인한 삶의 질 저하, 지역 공동화로 인한 지역 발전 역량의 훼손을 초래.

 

문재인정부는 과감한 분권으로 자치를 촉진하고, 균형 발전으로 전국이 효율적으로 성장하는 것을 국정 목표로 채택.

- 중앙 권한의 지방이양과 지방재정 확충을 통해 지방분권을 추진하고, 주민자치 확대를 통해 지역 현장 풀뿌리 민주주의 구현.

- 각 지역의 잠재력을 극대화하여 자립적 성장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균형발전을 달성하고 수도권과 지방, 지역과 지역 간  

경제·사회적 격차 해소.

   


고르게 발전하는 지역을 위한 3대 국정전략, 11개 국정과제 추진.

첫 번째 전략은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자치분권’.

- 문재인 정부는 생활민주주의 국가 실현을 위한 핵심목표인 자치분권을 위해 과감한 중앙권한 지방이양과 지방으로의  

기능분산을 이룰 수 있는 4개의 국정과제 추진.

- 2국무회의를 제도화하고, 2018년 지방선거 시 헌법 개정으로 실절적인 자치분권 기반을 조성하며, 세종특별자치시 및

제주특별자치도의 분권모델을 완성함.

- 자치분권의 핵심인 지방재정을 확대하기 위해 국가와 지방의 세입구조를 개선하고, 국정 역사교과서를 폐지하며,  

교육자치 강화를 위해 교육 거버넌스를 개편함.

 

두 번째 전략은 골고루 잘사는 균형발전’.

- 수도권 집중으로 인한 지역 양극화 및 전국적인 지역 쇠퇴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각 지역의 자립적인 성장 기반 조성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문재인 정부는 균형발전을 위해 3개의 국정과제 추진.

- 혁신도시, 세종시, 산업단지, 새만금 등 지역성장거점과 각 클러스터를 활성화하고, 구도심과 노후주거지 중심으로  

도시재생뉴딜사업을 집중적으로 추진하여 전국 각 지역의 고른 활력을 제고함.

- 산업 전후방 효과 및 일자리 창출에 영향이 큰 국내 조선 및 해운 산업의 재건을 위하여, 관련 지역에 대해서 핵심 산업의

재건을 추진함.

 

세 번째 전략은 사람이 돌아오는 농산어촌’.

- 농산어촌 재건의 1차 목표이자 기준은 청년들의 유입임. 이를 위해 농립어업의 체질강화, 소득안정, 복지서비스 강화 등

누구나 살고 싶은 농산어촌을 건설하기 위한 4개 과제 추진.

- 100원 택시, 농지연금, 사회적 농업 사업 등 농산어촌의 교통·의료·주거 환경을 개선하여 생활 인프라를 확충하고,  

2018년 국가 및 지역 단위의 푸드 플랜을 수립하여 먹거리의 생산과 소비에 대한 순환 시스템을 마련함.

- 쌀값 안정, 국공립 산림복지단지 조성, 스마트양식장 구축 등 농산어촌 지원강화와 첨단 환경 조성으로 농림어업인에  

대한 소득 안정과 복지서비스 향상을 추진함.

   


문재인 정부는 연방제에 준하는 지방분권 개헌을 추진할 만큼 고르게 발전하는 지역에 대한 강한 의지 보임.

정부, 헌법 개정 통해 균형발전과 풀뿌리 민주주의 실현의 의지 밝힘.

문재인 대통령은 61417개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실질적인 자치분권 강화 조항과 제2 국무회의를 신설을 포함한  

연방제에 버금가는 강력한 지방분권 개헌을 추진하겠다고 밝힘.

이낙연 국무총리도 722일 행정중심복합도시 착공 10주년 및 세종시 출범 5주년 기념식에서 연방제에 준하는  

지방분권 추구 거듭 밝힘.

국가균형발전 및 지방분권 추진은 지방소멸이라는 위기에 대응하는 긴급한 과제.

- 현재 수도권과 대도시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국의 많은 지역은 지방소멸이라는 말이 널리 알려질 정도로 존립에 대한  

위기가 심각함.

- 지방문제는 지역이기주의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의 문제임. 이 긴박한 현실에 대한 국민적 공감을 바탕으로  

지역간 상호이익을 위한 토론이 이루어져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