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연구원

내용 바로가기

외부용역과제

2017년 대선 대비 정치경제적 환경변화에 따른 세대전략 검토 - 경제·고용상황을 중심으로



2017년 대선 대비 정치경제적 환경변화에 따른 세대전략 검토


배경


 


1. 연구목적 및 방법론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노동자를 비롯한 다수 국민의 삶은 악화되면서 항시적으로 경제불안에 노출되어 있다. 고용률은 외환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고, 비정규직 남용과 차별은 고착화되었다. 경제성장에 못 미치는 임금인상으로 노동소득분배율은 악화되었고, 임금불평등은 심화되고 가구소득 불평등은 확대되었다. 가계수지 적자가구와 빈곤가구는 누적되고 있다.


 


이러한 불안감은 상대적 박탈감 및 기성체제에 대한 반감을 고조시켜왔는데 2008년 세계금융위기를 겪으면서 더욱 심화되었고. 한국사회에서는 2012년 총선, 대선이라는 정치적 계기와 맞물리면서 큰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 글은 세대(연령)별 고용사정과 생활 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세대 간 투표행위에 차이가 발생한 객관적 토대를 규명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다. 회고투표가 이루어진 2007년 대선과 달리 2012년 대선에서는 왜 경제에 대한 회고투표가 이루어지지 않았는가? 경제요인은 대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구체적 내용은 상이하지만 모든 세대가 경제불안감을 경험하고 있는 상황에서 경제요인이 세대별 투표에 미친 영향은 어떠한가? 만일 경제요인의 영향이 세대별로 상이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며, 그 외 어떤 요인이 투표에 영향을 미쳤는가? 또한 한국에서 세대별로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는 계급투표/계급배반 투표의 실태는 어떠하며 그 원인은 무엇인가? 아울러, 유권자 구성 변화를 고려할 때 5년 후 경제요인은 세대별 투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 II장에서는 주요 노동경제지표를 사용해서 고용사정과 생활상태의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고,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 원자료(20128)를 사용해서 성별 연령별 고용사정을 분석했다. 그리고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원 자료(20123)를 사용해서 성별 연령별 생활 상태를 분석했다.


 


III장에서는 세대, 경제요인, 대선투표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2012년 대선 직후 실시된 다수의 여론조사 데이터를 분석 비교하였다. 다소 복잡해질 수 있다는 위험성을 무릅쓰고 3개의 데이터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경제요인의 영향력을 좀 더 엄밀하게 살펴보고자 했다.


 


대선 투표 결정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시도했다. 몇 단계 모형을 구성했는데, 먼저 사회경제적 변수(, 연령, 지역, 학력, 소득, 이념)만으로 구성된 모형을 구성해 어떤 요인이 대선 투표에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경제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경제요인은 현재 경제상황(소득수준, 주관적 계층수준, 가계경제형편), 과거 경제평가(국가/가계), 차기 정부 경제전망(국가/가계)로 구분해 각각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소득양극화에 대한 실태 인식의 영향력도 살펴보았다.


 


경제요인 외에 어떤 요인이 대선 투표에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기 위해 투표기준(후보의 소속정당, 이념성향, 도덕성, 정책 및 공약, 당선능력 등), 이슈관심도(10개의 핵심 대선 이슈의 영향력 평가), 프레임(여성대통령, 후보단일화, 박근혜 vs 노무현 등)등의 영향력을 점검했다.


 


한편, 집단평균분석을 통한 세대간, 세대내 차이를 분석했다. 구체적 내용은 정치적 태도 및 의식, 정책적 지향, 경제인식 등이다.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2012년 대선 직후 서울대 한국정치연구소 여론조사 데이터, 2012년 대선 직후 KSDC, 2012년 대선 직후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 데이터 등이다.


 


 


* 전체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